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퇴사 또는 이직 후 연말정산 꼭 알아야하는 2가지

카테고리 없음

by 영광의길 2022. 1. 24. 12:10

본문

퇴사후, 이직후 연말정산 주의사항

한창 연말정산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을 시즌일 것입니다.
요즘처럼 어려운 시국에 한 푼이라도 챙겨야 하는 의무는 국가가 아니라 개개인에게 있다는
사실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누가 찾아주지 않습니다. 

연말정산할 때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 중에 2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회사를 이직한 경우 연말정산은?
2) 퇴사 후 이직을 준비 중인 경우에 연말정산은?

1] 퇴사하고 이직을 한 경우 연말정산하는 방법

퇴자를 하고 이직을 하신 경우에는 걱정하실 것이 없습니다.
다니던 회사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서 현재 근무중인 회사에
제출해서 연말정산하시면 됩니다.

혹시나 연말정산 기간을 놓치거나 정신이 없어서 전직장 소득내역을 포함해서 
연말정산을 못하셨다면 매년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다시 연말정산을 하시면 됩니다.

2] 퇴사 후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 연말정산

다양한 사유로 퇴사 후 재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매년 해오던 연말정산을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하십니다. 그래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회사는 퇴사가 발생한 시점에 "연말정산"을 한다.

회사는 직원이 퇴사하는 시점에 "기본공제"만 반영해서 "정산"이라는 것을 합니다.
그래서 "퇴직금 + 마지막 급여 정산금"을 입금해 주게 되어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반영하지 않고 연말정산을 하는 것과 같습니다.
환급받아야 하는 세금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혹 "회사에서 정산을 하고도 회계처리 또는 담당자의 실수 등으로 정산된 소득세가 누락되거나
빠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확인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확인하시면 첫장 맨아래쪽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확인해야할 내용

근로소득원천징수 내역 첫장 맨 아래쪽에서 보시면 [결정세액] 위 그림 빨간네모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확인방법(바로가기)

2, 연말정산을 못한다고 걱정하지 마세요.

연말정산은 기본적으로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4대보험 근로자를 기준으로 합니다.
퇴사를 해서 연말정산을 진행할 회사가 없는 경우에는 당연하게도 연말정산 기간에
연말정산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연말정산 수정신고]를 하실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을 못하신 분들은 5월에 반영하지 못한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반영해서 추가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