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Your insight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Design Your insight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세금 바로알기

검색 레이어

Design Your insight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초간단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방법(2021년)

    2022.01.24 by 영광의길

  • 퇴사 또는 이직 후 연말정산 꼭 알아야하는 2가지

    2022.01.24 by 영광의길

  • 산업안전보건교육 제외업종 알아보기

    2021.11.25 by 영광의길

  •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사장님이 직접하기" 교육자료 및 필요서류 총정리

    2021.11.24 by 영광의길

  • 성희롱예방교육 사장님이 직접하기 풀버전 (10인 미만 사업장)

    2021.11.24 by 영광의길

  •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고용노동부 설명자료(첨부)"

    2021.11.19 by 영광의길

  • 새길세무회계 임금명세서 관련 안내사항(사업주 필독)

    2021.11.16 by 영광의길

  • 임금명세서 교부의무 안지키면 과태료 헉!!

    2021.11.12 by 영광의길

초간단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발급방법(2021년)

2021년 연말정산(2022년 1~2월)을 위해서 "근로소득 원정징수영수증" or "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확인하고자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정보를 찾다보면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되어있는데 21년도 내역이 보이지 않습니다. "홈택스"에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지급명세서)는 매년 3월 [보수총액 신고]를 한 후 빠르면 4월, 일반적으로 5월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1년도에 근로자에게 지급한 급여를 총정리해서 매년 3월 15일까지 신고하는 것을 보수총액신고라고 합니다. 그래서 매년 연말정산 기간에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이 필요하신 분들은 다니던 회사에 요청하셔야 합니다. 또 개인적인 사정상 회사에 연락하기 어려우신 분들은 기다리셨다가 5월에 연말정산을 하시면 됩니다. ..

카테고리 없음 2022. 1. 24. 13:18

퇴사 또는 이직 후 연말정산 꼭 알아야하는 2가지

한창 연말정산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있을 시즌일 것입니다. 요즘처럼 어려운 시국에 한 푼이라도 챙겨야 하는 의무는 국가가 아니라 개개인에게 있다는 사실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누가 찾아주지 않습니다. 연말정산할 때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 중에 2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회사를 이직한 경우 연말정산은? 2) 퇴사 후 이직을 준비 중인 경우에 연말정산은? 1] 퇴사하고 이직을 한 경우 연말정산하는 방법 퇴자를 하고 이직을 하신 경우에는 걱정하실 것이 없습니다. 다니던 회사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아서 현재 근무중인 회사에 제출해서 연말정산하시면 됩니다. 혹시나 연말정산 기간을 놓치거나 정신이 없어서 전직장 소득내역을 포함해서 연말정산을 못하셨다면 매년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다시 연말정산..

카테고리 없음 2022. 1. 24. 12:10

산업안전보건교육 제외업종 알아보기

산업안전보건교육 꼭 해야 할까요? 5인 미만 사업장은 제외입니다. 5인 이상 사업장은 매분기 마다 6시간 의무교육이라는데(단, 판매/사무직은 3시간) 우리 사업장은 위험한 일을 하지 않는데 꼭 해야 하나요? 제외업종도 있다고 하던데... 그래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산업안전 보건교육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제외업종은? 교육을 하지 않아도되는 제외업종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에 명시되어있습니다. 아래 첨부자료를 확인하시면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제외업종 1] 1.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2.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3. 정보서비스업 4. 금융 및 보험업 5. 기타 전문서비스업 6. 건축기술, 엔지니어링 및 기타 과학기술 서비스업 7. 기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사진 처리업은 ..

카테고리 없음 2021. 11. 25. 01:42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사장님이 직접하기" 교육자료 및 필요서류 총정리

법정 의무교육 중 하나인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하셨나요? 이제 며칠 후면 12월 21년의 마지막 달입니다. 자료를 찾다 보면 "해야 한다" "의무다" 이런 내용은 있는데 영세사업자의 경우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자료는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업자 주가 직접 교육하고 어떤 서류를 구비해 놓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방법과 절차는? [2018년도 5월 29일부터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5조의2에 따라 모든 사업주는 연 1회, 1시간 이상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해야 합니다.] 모든 사업장이 대상이고 사업주 또는 인사담장자가 직접 실시할 수 있습니다. 또 50인 미만 사업장은 간이교육자료를 배포 또는 게시하는 것으로 대체가..

카테고리 없음 2021. 11. 24. 15:39

성희롱예방교육 사장님이 직접하기 풀버전 (10인 미만 사업장)

법정의무교육이라고 있습니다. 해당하는 업종은 무조건 해야 하고 혹시나 하지 않으면 "과태료" 대상이기 때문에 매년 꼭 해야합니다. 그중에 오늘은 "성희롱 예방교육"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성희롱 예방교육을 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하고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하나씩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그래서 사업장에서 직접교육하고 어떤 서류를 구비해 놓아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0인 미만 사업장의 "성희롱 예방교육 예외사항은?" -상사 10인 미만 사업장의 대표자 및 근로자 모두가 남성 또는 여성 중 어느 한 성비로만 구성된 사업장은 교육자료를 게시 또는 배포하는 것으로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ex) 사업장 구성원 전체가 남성 또는 여성으로만 되어있고 10인 미만 이라면 ..

카테고리 없음 2021. 11. 24. 13:40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고용노동부 설명자료(첨부)"

뉴스 보셨나요? 2021년 11월 19일부터 "임금명세서를 교부해야 합니다." 기존의 근로계약서 처럼 의무화되는 것입니다. 지키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일반 소상공인 영세사업자는 어떻게 대응을 하고 준비해야 할까요? 그래서 수없이 많이 돌아다니는 카더라말고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어떤 것을 보아야 할까요? "고용노동부 설명자료"를 먼저 보고 이해하고 우리사업장의 경우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파악을 하셔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용노동부가 알려드립니다. 고용노동부 11월 10일자 보도자료입니다. 첫 화면에 "임금명세서 만들기" 컴퓨터/모바일 프로그램 무상 보급 이라고 되어있어서 (오늘 19일)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았지만 아직 업로드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새롭게 개정되는 법령이고 이것에 따른 다양..

카테고리 없음 2021. 11. 19. 14:54

새길세무회계 임금명세서 관련 안내사항(사업주 필독)

안녕하세요! 2021년 11월 19일부터 시행하는 임금명세서 관련 거래처 안내사항입니다. 많은 대외적 여건에 힘들어하시는 사장님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드리지 않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최저임금의 상승과 법률개정에 따라서 어쩔 수 없이 직원 근로계약관리와 임금명세서 부분에 대한 추가관리가 필요한데 현재의 비용구조로는 관리인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별도의 안내를 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꼭 맨 아래까지 내용을 꼼꼼하게 확인해 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자세한 문의는 "새길 세무회계" 거래처 카톡으로 문의 부탁드립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1. 11. 16. 14:10

임금명세서 교부의무 안지키면 과태료 헉!!

대기업은 인사팀 or 총무팀에서 변하는 법령에 대한 준비가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영세사업장 사장님들은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기존에 주었던 임금/월급 명세서를 그냥 주면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안됩니다. 새롭게 바뀐 법령에 맞추어서 요건구성이 되어 있지 않으면 과태료가 발생합니다. 법령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21년 11월 19일 전면 시행 5인 미만 전 사업장 기존에는 근로계약서만 작성하고 임금대장만 있으면 꼭 명세서를 주지 않아도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현실은 임금대장도 구비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말입니다. 새롭게 변경된 근로기준법 48조는 근로자를 고용하면 얼마의 급여를 주는지 몇 시간 일하는지 급여의 계산은 어떻게 되었는지 계산 내역과 세부계산 근거가 모두 포함되어야합니..

세금 바로알기 2021. 11. 12. 02: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 7
다음
TISTORY
Design Your insight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